미래교육한마당

개막식

김진경 - 국가교육회의 의장

김진경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

2030 미래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방향과 주요 의제

김진경은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의장으로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성고등학교 등에서 국어를 가르쳤으며 중국 소주대학 초빙교수를 지냈다. 대학교 재학시절 ‘한국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한 시인이기도 하며 「스스로를 비둘기라고 믿는 까치에게」, 「유령에게 말 걸기」, 「고양이 학교」, 「미래로부터의 반란」등 다수의 저서를 발간하였고, 「고양이 학교」로 프랑스 아동청소년문학상인 ‘앵코뤼브티블’ 상을 수상하였다. 김진경은 “새로운 걸 꿈꾸는 게 곧 시를 쓰는 일”이라며 ‘국가교육위원회’라는 새로운 시를 준비하고 있다. 국가교육위원회는 10년 단위 국가교육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중장기 방향을 설정하게 될 것이다.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 OECD 교육국장

안드레아스 슐라이허(Andreas Schleicher)

안드레아스 슐라이허(Andreas Schleicher)

OECD 교육국장

OECD 교육 2030 학습틀로 본 한국 교육 분석

안드레아스 슐라이허는 OECD 교육국장(Director for Education and Skills)이며, OECD 사무총장의 교육정책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를 포함하여 정책입안자, 연구자, 교육자들이 교육정책 및 관행을 혁신하고 변화시킬 글로벌 플랫폼을 창조하는 여러 국제적 도구들을 창설 및 감독해왔으며, 지난 20년 간 각국의 정부부처 및 교육계 지도자들과 함께 교육의 질과 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안 던컨(Arne Duncan) 미국 교육부장관은 디 아틀랜틱(Thr Atlantic, 2011년 7월호)지를 통해 “슐라이허는 내가 만나본 그 누구보다 국제적 이슈와 도전 과제를 잘 이해하는 사람이며 나에게 진실을 말합니다.”라고 말했다. 마이클 고브(Michael Gove) 영국 국무장관은 그가 프랑스에 살고 있는 독일인 인 것과 상관없이 그를 “영국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라 칭했다. 안드레아스 국장은 “모범적 민주화 참여”에 대한 공로로 독일 초대 대통령의 이름을 딴 테오도어 호이스(Theodor Heuss) 상을 포함한 수많은 명예와 상을 수여받았다. 그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명예교수이기도 하다.

공동세션

우베 퓌제 - 스위스 바젤대학교 교수

우베 퓌제(Uwe Pühse)

우베 퓌제(Uwe Pühse)

스위스 바젤대학교 교수

OECD 체육교육·건강 국제 비교 분석

우베 퓌제(Uwe Pühse )는 스위스 바젤대학교 스포츠 과학 전임교수 겸 스포츠·운동·건강학과의 학과장이다. 스포츠·운동·건강학과는 약학부 산하이며 신체활동 및 건강에 주안점을 두고있다.   우베 퓌제 교수의 연구팀은 특히 체육교육, 신체활동과 인지, 활동친화적 학교의 개념, 발달을 위한 스포츠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갖고 운동과 건강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연구하고 있다. 그의 연구팀은 최근 몇 년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포트엘리자베스에 위치한 넬슨 만델라 대학과의 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많은 지원금을 받았다. (DASH 프로젝트, KaziBantu 프로젝트(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건강한 학교를 만들고 더 나아가 건강한 사회를 만들자는 프로젝트)).  우베 퓌제 교수는 300권 이상의 과학서적을 저술하였으며 전세계의 여러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하였다. 그는 국제스포츠교육학회(AIESEP) 이사회 및 세계스포츠과학체육교육위원회(ICSSPE)의 위원이며 프랑스스포츠연구소(CEREPS), 유럽체육교육협회(EUPEA) 및 국제체육교육협회(FIEP)와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 또한 국제스포츠교육학회 및 국립운동과학학회(NAK)의 특별 연구원, OECD 교육 2030 계획 관련 체육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9년에는 스위스 및 유럽의 체육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제체육교육협회로부터 유럽 Thulin 상을 받았다. 같은 해 유네스코 내 ‘교육환경에서의 체육활동 및 건강’관련 부문 의장을 맡았다.

반상진 -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반상진

반상진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학습과 삶의 균형성장을 위한 학생 웰빙 정책 방향

반상진은 2018년 3월 한국교육개발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재직 중이다. 위스콘신 메디슨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반상진은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학계에서 다양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이끌어왔다. 최근에는 특히, 대학의 균형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새 정부 고등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등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역대 정권에 걸쳐 대통령자문 정책위원회 전문위원으로서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적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애써왔으며,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교육 정책 수립에 힘을 쏟고 있다. 2002년부터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해왔으며, 주요 저서로는 ‘대학평가의 정치학’,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 인력정책 10대 이슈’ 등이 있다

성기선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성기선

성기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학생의 행복한 성장을 위한 학교교육의 실천과 과제

성기선은 가톨릭대학교 교수이며, 2017년 11월부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성기선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으로 취임하기 이전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 제17대 원장(2015.3-2017.10)을 역임했으며, 경기도교육감직인수위원회 민생분과위원장(2014.6-8), 가톨릭대학교 교수학습센터장(2003.3-2014.6), 한국교육개발연구원의 연구원(1998.3-2000.2),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의 책임 연구원(1997.3-1998.2)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성기선은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을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저서로는 「교육사회학(2016)」,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적 성찰(2014)」,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자치 혁명(2014)」 등 한국 교육 문제 해결과 혁신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기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션 I

류방란 -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류방란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학습-일-삶 선순환을 위한 평생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방향과 과제

류방란은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여년 근무하면서 교육정책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왔다. 그의 주된 연구 주제는 교육개혁, 교육격차 해소, 취약집단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 미래 교육 등이며 이 주제들에 관한 연구 논문과 보고서가 다수 발간되었다. 특히 교육복지 정책의 입안, 모니터링과 평가에 깊이 관여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연구기획실장, 교육제도 복지 연구실장, 초중등교육연구본부장, 부원장을 역임하면서 연구 수행 면만이 아니라 조직 운영 면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여러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 주제와 관련된 정책적 자문도 함께 하였다. 현재 중앙생활보장위원회 교육소위원장, 서울특별시 교육복지 자문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지역균형발전위원회 혁신도시 특별위원회 위원, 교육부 정책숙려제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아울러 시민이 숙의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위원으로도 활동한 바 있다. 현재 국가교육회의 위원이며 평생·직업교육전문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바바라 헴크스 - 독일 연방직업교육훈련연구소 혁신적 추가교육, 예비교육∙시범사업 본부장

바바라 헴크스(Barbara Hemkes)

바바라 헴크스(Barbara Hemkes)

독일 연방직업교육훈련연구소 혁신적 추가교육, 예비교육 ∙ 시범사업 본부장

독일의 지역 사례를 통해 본 일-학습-삶의 선순환 체제

바바라 헴크스는 독일 연방직업교육훈련연구소(Federal Institute for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BIBB) 산하에 있는 혁신성인교육부서장이다. 독일 연방직업교육훈련연구소(BIBB)는 직업연구 및 직업교육 및 훈련(VET)의 점진적 발전을 위한 전문가 조직(center of excellence)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소는 직업교육 및 훈련(VET)과 관련하여 연방정부와 정치권 인사들에게 전문지식 및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바바라 헴크스는 독일연방교육연구부(Federal Ministry for Education and Research)에서 연구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그녀는 디지털화 및 지속가능성 요구 등 여러 변화과정에서 초기직업교육 및 추가직업교육, 훈련 등에 대한 요구에 혁신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세션 II

김대현 - 부산대학교 교수

김대현

김대현

부산대학교 교수

미래사회와 새로운 학습체제

김대현은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가교육회의 유‧초‧중등교육 전문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교육부의 초등교육발전위원회, 교육과정심의회, 대학수학능력개선위원회, 대학발전기획단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대통령 직속 교육혁신위원회 전문위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비상임 이사를 역임하였다. 한국교육과정학회 회장으로 재직하였으며,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위원장과 학술상심사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부산대학교의 사범대학 학장과 교육대학원 원장, 교무처장을 지냈다.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동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과의 통합적 운영’을 포함한 20여권의 저서(공저서)와 15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동성 -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이동성

이동성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미래사회와 새로운 학교체제

이동성은 초등학교로 교사로 근무하다가 현재는 전주교육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가르치고 있다. 이동성은 전주교대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석사)와 부산대(박사)에서 교육사회학을 전공하였고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론(자문화기술지, 생애사 연구 등)에 기초하여 학교와 교사의 삶을 탐구하고 있다. 전주교대에서 기획처장을 맡은 바 있으며, 현재는 한국교원교육학회 및 한국교육사회학회 편집위원, 한국질적탐구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으며, 국가교육회의 유초중등교육전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사무 세이살로 -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 혁신국장

사무 세이살로(Samu Seitsalo)

사무 세이살로(Samu Seitsalo)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 혁신국장

핀란드 교육과정의 개혁과 실행

사무 세이살로(Samu Seitsalo )는 1990년대 초반부터 20여년간 핀란드 교육과 핀란드 사회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핀란드의 EU 가입을 준비하며 NGO 캠페인을 이끌기도 했다. 현재는 교육개발 및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개발, 교육, 청년, 스포츠의 국제화를 장려하는 핀란드 정부기관인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EDUFI)의 혁신국장으로 영향을 발휘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션 III

장수명 -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장수명

장수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한국 고등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체제혁신과 정책과제

장수명은 현재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이며 고등교육전문위원회 위원장이다. 장수명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교수로 제도와 공공정책 분석, 한국경제와 인적자원, 노동시장과 인적자원 등의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장,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장, 교육정책연구소장을 역임하였으며 교육부 자문위원회 고등교육분과위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장수명은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경제학 석사와 박사를, 충남대학교 경제학 학사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국가 및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교육의 역할(2004)」, 「5·31 대학정책분석(2009)」, 「대학교육의 경제학(2002)」,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특성화 방안 연구(2008)」, 「대학서열의 경제적 수익 분석(2006)」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와 역서로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2016)」, 「핀란드 교육의 기적(2017)」 등이 있다. 장수명은 미래 한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체제의 혁신을 위한 이론적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기곤 - 한밭대학교 교수

남기곤

남기곤

한밭대학교 교수

한국 고등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체제혁신과 정책과제

남기곤은 1995년 한밭대학교에 부임한 이래 지금까지 25년간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교육경제학과 노동경제학이며,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나 경제학연구 등 국내외 주요 저널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17년도에는 한국경제발전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이 학회 명예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이 외에 한국사회경제학회, 한국산업노동학회, 한국노동경제학회 등에서도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고등교육전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대학의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교육부나 고용노동부 소속 여러 위원회에서 다양한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UCLA와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에서 각각 1년씩 방문학자로 활동한 경험이 있다.

존 오브레이 더글라스 - 미국 UC Berkeley 고등교육센터 선임연구교수

존 오브레이 더글라스(John Aubrey Douglass)

존 오브레이 더글라스(John Aubrey Douglass)

미국 UC Berkeley 고등교육센터 선임연구교수

캘리포니아 체제로 바라본 한국 고등교육체제

존 오브레이 더글라스는 UC버클리 산하 고등교육 연구소(CSHE)의 공공정책과 고등교육 분야 선임 연구교수이다. 그는 세계화 및 고등교육, 경제발전과 사회경제적 이동에서의 대학의 역할, 고등교육의 역사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신 민족주의와 대학, 새로운 플래그십 대학: 글로벌 순위중심에서 국가적 관련성으로 패러다임의 변화(2016) 및 그 후속작 새로운 아시아 플래그십 대학의 상상(2017), 입학의 조건(2007), 캘리포니아 이상과 미국의 고등교육(2000), 세계화에 대한 묵상: 변화하는 세계의 대학 및 고등교육(2009의 저자이다. 최근에는 티핑포인트로의 접근?: 캘리포니아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 역사 및 계획과 캘리포니아지역 경제적 경쟁력 향상에서의 대학의 역할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그는 여러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는데, 연구대학 컨소시엄에서의 학생경험 연구가 그 중 하나이다. 미국, 중국, 일본, 브라질, 남아프리카, 네덜란드, 독일, 영국, 러시아의 주요대학들이 함께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그는 고등교육 연구소 산하 출판사인Research and Occasional Paper Series (ROPS)의 편집인으로, 미국, 중국, 러시아 국제 고등교육 저널의 편집 위원이며 그 외 많은 고등교육 기관의 국제 자문위원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베를린 사회과학 센터(WZB)의 방문연구원, 암스테르담 단과 대학교(암스테르담 대학교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산하), 캄피나스 대학교(브라질), 파리정경대학교(Sciences Po, 파리)의 방문교수, 옥스포드 대학교 고등교육정책 연구소(OxCHEPS)의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했다. 그의CSHE 웹페이지를 방문하면 연구 및 저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세션 IV

김진숙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교육정책본부장

김진숙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교육정책본부장

디지털 전환과 교육체제 융합 방향

김진숙은 1999년 4월부터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재직중이며, 2019년 현재 미래교육정책본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있다. 김진숙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재직하기 이전에, 1989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교육개발원 컴퓨터교육연구센터 연구원,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책임연구원의 경력을 쌓았다. 1990년대는 한국의 컴퓨터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시기로서, 컴퓨터교육 활성화 제도 수립, 멀티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연구와 개발을 수행했다. 이후 교육정보화 전담 기관으로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만들어지면서, 국가 교육정보서비스 에듀넷 운영,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현장 적용, 스마트교육 촉진 시행 계획 수립 등 한국의 교육정보화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최근 3년은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미래 디지털전환시대의 인재 양성 수립을 위한 연구와 전략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김진숙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공학 학사와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교육부 정책연구심의위원, 국가교육통계위원,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연구 지원, 한국교육공학회, 스마트교육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수잔 엉크 - 네덜란드 초등교육과정위원회 프로그램매니저 ∙ 컨설턴트

수잔 엉크(Suzanne UNCK)

수잔 엉크(Suzanne UNCK)

네덜란드 초등교육과정위원회 프로그램매니저 ∙ 컨설턴트

네덜란드 디지털기술의 교육적 활용과 시사점

수잔 엉크는 교육혁신, 교원의 지속적인 역량강화(CPD), 교수-학습 자료의 유연성, 테크놀로지와 윤리 등의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교육 전문 컨설턴트이다. 미래학교로의 전환 도입, 테크놀로지 기반의 교수-학습 환경 혁신을 위해 네덜란드 초등교육 이사회 및 국내 공공기관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네덜란드 초등학교 현장이 ICT 기반의 혁신 도입을 이룰 수 있도록 네덜란드 교육부, 경제부와 초등교육과정위원회(PO-Raad)가 출범한 국가 프로젝트 “ICT와 더 스마트하게 학습하기(Slimmer Leren met ICT)” 프로그램을 총괄하기도 하였다. 현재 엉크는 초등교육의 디지털 리터러시, 변화 관리, 교사 및 교원의 역량 강화 개발 등에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교육과정위원회 프로젝트를 총괄하기 전에는 커뮤니케이션 교수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수잔 엉크는 네덜란드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Tilburg에서 교육학 학사, Tilburg University 에서 이문화 경영학(Intercultural Management)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에이드리언 림 -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 디지털리터러시 본부장

에이드리언 림(Adrian Lim)

에이드리언 림(Adrian Lim)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 디지털리터러시 본부장

사회 성장을 위한 싱가포르의 디지털 시민성 추진 사례

에이드리언 림은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 Info-Communications and Media Development Authority)의 디지털리터러시 본부(Digital Literacy and Participation Division)를 총괄하고 있다.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은 싱가포르의 정보통신과 미디어의 혁신을 위해 테크놀로지 융합 활동을 추진하는 정부부처이며, 림이 이끄는 본부는 초중등교육, 성인교육, 교육훈련 분야에서 다양한 파트너 간의 협력을 통해 21세기 역량을 개발하는 교육을 위해 힘쓰고 있다. 림은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에 재직하기에 앞서 싱가포르 교육부가 국가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의 일환으로 1994년에 설립한 니안 중학교 (Ngee Ann Secondary School)의 교장으로 근무하였다. 니안중학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 싱가포르 내 공공ㆍ민간 분야와 선도적으로 교육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미래학교로 알려져 있다. 에이드리언 림은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영어학 학사학위를, 난양기술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디플로마를, 그리고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그는 싱가포르 미디어리터러시 위원회의 대표를 맡고 있기도 하다.

이은상 - 창덕여자중학교 교사

이은상

이은상

창덕여자중학교 교사

서울 미래학교를 통한 디지털 전환 기반의 학교 혁신 탐색

이은상은 2015년 서울시 미래학교로 지정된 창덕여자중학교 교사로 역임하고 있다. 창덕여자중학교는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등을 적극 활용하여 미래교육의 가치 구현을 위한 연구 활동을 실시하도록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지정한 ‘서울미래학교 연구학교’이다. 이은상은 학교혁신, 학습자 중심 프로젝트, 협력 기반 수업 설계 등의 분야 연구 활동에 몰두하고 있다. 이 외 이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수업 프런티어 교사단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교육부 첨단 미래학교 자문단 중등 분과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이은상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공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세션 V

김용 -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김용

김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교육자치와 교육주권

김용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다. 한국의 현대 교육개혁 과정과 교육행정 및 교육정책의 법적 분석을 계속해오고 있다. '신자유주의 교육정책-계보와 그 너머'(2015), '학교자율운영 2.0 - 학교개혁의 전개와 전망'(2019)와 같은 책과 '법화사회의 진전과 학교 생활세계의 변용'(2017), 'Outsourcing education services in South Korea, England and Hong Kong: A discursive institutionalist analysis'(2019)와 같은 논문을 펴냈다. 일본 도쿄대학에서 외국인초빙연구원과 객원교수로 한국과 일본의 교육행정을 비교 연구하였고, 현재 국가교육회의 유초중등교육전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용련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김용련

김용련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마을교육공동체와 주민교육자치

김용련은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교육정책 및 행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에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혁신, 마을교육공동체, 생태적 교육, 프로그램 평가, 교육 리더십 등이며, 관련된 내용의 강연 및 집필 활동을 수행중이다. 대표 저작물로는 마을교육공동체: 생태적 의미와 실천,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고등교육과 공익 등이 있다. 현재 국가교육회의 평생·직업교육전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이치 나카타 - 일본 대동문화대학교 교수

고이치 나카타(Koichi Nakata)

고이치 나카타(Koichi Nakata)

일본 대동문화대학교 교수

일본 커뮤니티 스쿨 정책의 현황과 과제

고이치 나카타(Koichi NAKATA) 박사는 도쿄에 위치한 대동문화대학교 산하 교사개발 및 교육연구소(Center for Teacher Development and Education Research)의 부교수(associate professor)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현재 그가 주로 관심을 갖고 있는 연구분야는 현 사회의 교육정책과 학교행정 및 학교경영이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부모-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관련 정책이 어떤 방식으로 입안되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특히 학교의 사회적 맥락으로서의 영향과 다른 교육정책과의 교차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나카타 교수는 여러 저서 및 역서, 학술논문 등을 출간했는데, 특히 그의 저서인 커뮤니티 스쿨의 미시정치(The micro-politics of community schools) (도쿄: 케이소 출판사, 2015, 일본어로 출간)는 일본교육행정학회(Jap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로부터 도서상을 받았다. 나카타 박사는 도쿄대학 교육학부에서 박사과정을 마쳤으며 일본학술진흥회(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가 재정지원 하고 있는 연구에 참여 중이다.